목록분류 전체보기 (18)
Carpe diem

경제 뉴스나 컨텐츠를 보다보면 실질금리, 명목금리라는 단어가 자주나온다. 명목금리는 은행이 제시하는 저축금리, 주택담보대출금리, CD금리 등 우리 눈에 보이는 금리들을 의미하며, 화폐 1단위를 일정 기간 동안 빌리는 대가로 지불한 화폐액으로서 이자를 원금으로 나눈 값으로 계산한다. 그런데, 명목금리 만으로는 저축과 차입의 실질적인 효과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다. 실질금리는 명목금리에 물가상승률을 감안해서 조정한 금리이다. 만일 어떤 사람이 다른 사람에게 1년간 자금을 빌려준다고 할 때 실질 금리가 2%이고 예상 인플레이션율이 3%라면 명목 금리를 5%로 할 때 서로 만족하며 거래를 하게 된다. 만일 1년 후에 인플레이션율이 예상보다 낮은 2%에 머물게 되면 실질 금리는 3%가 되어 대출자는 이득을 얻고..
bitbake를 완료한 후, 펌웨어 이미지를 SD카드에 써야한다. 주로 리눅스에서는 dd커맨드를 사용하는데, meta-raspberrypi 공식문서와 MS공식문서에서는 bmap-tool이라는 것을 사용한다. https://meta-raspberrypi.readthedocs.io/en/latest/readme.html https://learn.microsoft.com/ko-kr/azure/iot-hub-device-update/device-update-raspberry-pi https://www.codeinsideout.com/blog/yocto/raspberry-pi/#build-and-run dd command 등 bmap tool이든 둘 다 USB 장치를 인식해야하는데, 인식이 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컨테이너를 실행한 상태에서 커맨드를 사용할 수는 있지만, 이미지를 빌드 시에 계정을 생성하고 컨테이너를 실행 시에 user 계정으로 로그인을 하고 싶었다. (docker 컨테이너에서 root계정으로 편집한 파일이 vscode에서 편집이 되지 않는 문제가 있어서... vscode에는 WSL 플러그인이 지원되서 편리한 기능이 많다...) 새로운 계정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아래 라인을 Dockerfile에 추가해주면 된다. RUN useradd -ms /bin/bash rpi USER rpi WORKDIR /home/rpi 참고: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27701930/how-to-add-users-to-docker-container How to add users to ..

심심하기도 하고 집에 놀고 있는 라즈베리파이3 보드로 뭔가 해보고 싶었다.. 예전부터 관심있었던 yocto(빌드시스템)로 리눅스 시스템을 빌드하고 펌웨어를 한번 올려보고 싶었다. 커스텀 레이어까지 올려보자... 우선, poky와 open embedded, raspberry pi meta layer를 다운 받는다. 공식 문서에 따르면, poky는 open embedded의 파생버전이고, yocto의 빌드 시스템으로 사용되고 있다고 한다. oe-core는 점점 고도화를 거치면서 핵심적인 기능만 남았다고 한다. 아래 URL을 보면, dunfell브랜치가 비교적 최근까지 패치가 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다운 받아보자... https://git.yoctoproject.org/meta-raspberrypi $ g..

WSL을 사용하기 전에 필요한 설정들이 있다. 설정이되어 있지 않으면, Ubuntu 앱을 실행하거나 wsl을 실행 시에 아래와 같은에러가 발생한다. WslRegisterDistribution failed with error: 0x800701bc 아래의 설정들을 해주면, 정상적으로 WSL을 사용할 수 있다. window wsl patch 아래의 URL을 보면 Window kernel patch가 필요한 경우가 있다고 한다. https://github.com/microsoft/WSL/issues/5393 다운로드 받아서 설치하면 된다. WSL, Hyper-V 설정 윈도우 버튼 -> Windows 기능 켜기/끄기 입력 -> Hyper-V, 리눅스용 Windows 하위시스템 체크
raspberry pi 레시피를 빌드하기 위해 의존성이 있는 meta layer를 추가하기 위해 bitbake 명령을 실행 시에 error가 발생했다. 나의 경우, WSL내의 docker 컨테이너 에서 yocto 관련 환경을 구성 중에 있는데, 이전에 Ubuntu환경의 docker 컨테이너에서도 bitbake명령을 실행 시에 동일한 에러가 발생했었다. root@d0e33f11861d:/workdir/rpi/poky-rocko/build-raspberrypi# bitbake-layers add-layer ../meta-openembedded/meta-oe NOTE: Starting bitbake server... WARNING: /workdir/rpi/poky-rocko/meta/lib/oe/maketyp..
빌드를 다시 해보니, 다른 드라이브에서 빌드를 해서 발생한 문제로 보인다. topdir이라는 변수가 홈디렉토리를 기준으로 설정되는 변수인듯 하다. 그래서 마운트된 디렉토리에서 실행하면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홈 디렉토리에서 SDK를 다운받아서 빌드하면 문제가 사라진다. WSL환경에서 Ubuntu 20.04이미지를 docker 이미지를 빌드하고 실행시켜봤다.. 잘된다.. (매번 시작마다 docker service를 start시켜주고 dock.sock 의 권한을 직접 변경해주어야한다는 것 빼고는..) poky를 다운 받고, 다른 meta-layer를 추가하기 전에 현재 meta layer들 목록을 확인해보기 위해 bitbake 명령을 사용하던 중에 아래 같은 에러가 발생했다. root@d0e33f11..
구글링해보니 Ubuntu 시작 시에 docker service가 시작되지 않아서 발생하는 에러로 보인다. $ sudo docker run hello-world docker: Cannot connect to the Docker daemon at unix:///var/run/docker.sock. Is the docker daemon running?. See 'docker run --help'. service를 시작해주고 docker를 돌리면 된다. $ sudo service docker start * Starting Docker: docker [ OK ] $ sudo docker run hello-world Hello from Docker! This message shows that your install..
root계정으로 로그인해서 하거나, sudo로 하면 된다. 나는 root계정으로 하는게 편해서... (계정으로 로그인 상태이면 어차피 sudo 여러번 칠거니까 잠깐만 root계정으로..) $sudo su root$ adduser "your_user_name" sudo 명령이 먹히지 않는다.. 추가한 계정을 sudoers에 추가해주어야한다. root$ chmod +w /etc/sudoers root$ vim /etc/sudoers root계정 밑에 계정을 추가하고 저장하고 나온다. # User privilege specification root ALL=(ALL:ALL) ALL your_user_name ALL=(ALL:ALL) ALL sudo 명령까지 정상적으로 된다!
WSL을 이용해서 설치된 리눅스 배포판은 C드라이브에 설치된다. C드라이브는 용량이 부족할 수 있어서.. D드라이브에 설치하는 방법을 알아봤다. powershell에서 아래 명령으로 다운로드, 설치를 하면 된다.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 URL을 참고 https://learn.microsoft.com/en-us/windows/wsl/install-manual#downloading-distributions 마지막의 Add-AppxPackage 명령을 사용하지 않고,(root계정으로 로그인된다.) 폴더탐색기에서 드라이브를 열어서 실행시켜도 Ubuntu가 설치된다.(사용자 계정 만드는 창이 먼저 뜬다) > Set-Location E: > Invoke-WebRequest -Uri https://aka.ms/ws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