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docker (4)
Carpe diem
컨테이너를 실행한 상태에서 커맨드를 사용할 수는 있지만, 이미지를 빌드 시에 계정을 생성하고 컨테이너를 실행 시에 user 계정으로 로그인을 하고 싶었다. (docker 컨테이너에서 root계정으로 편집한 파일이 vscode에서 편집이 되지 않는 문제가 있어서... vscode에는 WSL 플러그인이 지원되서 편리한 기능이 많다...) 새로운 계정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아래 라인을 Dockerfile에 추가해주면 된다. RUN useradd -ms /bin/bash rpi USER rpi WORKDIR /home/rpi 참고: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27701930/how-to-add-users-to-docker-container How to add users to ..
구글링해보니 Ubuntu 시작 시에 docker service가 시작되지 않아서 발생하는 에러로 보인다. $ sudo docker run hello-world docker: Cannot connect to the Docker daemon at unix:///var/run/docker.sock. Is the docker daemon running?. See 'docker run --help'. service를 시작해주고 docker를 돌리면 된다. $ sudo service docker start * Starting Docker: docker [ OK ] $ sudo docker run hello-world Hello from Docker! This message shows that your install..
window버튼 + s키를 입력 후, Ubuntu를 입력하면 설치한 Ubuntu 배포판이 보인다. Ubuntu배포판을 클릭해서 실행한다. 또는 Powershell에서 wsl명령을 입력하면 실행된다. docker를 설치하는 방법은 두가지가 있다. 직접 ubuntu 패키지 설치 등을 통해서 설치하는 방법, 그리고 docker에서 제공하는 shell script를 이용해서 설치하는 방법 전자보다는 후자가 훨씬 간편하긴하다. 1. 직접 docker 설치 docker를 설치해보자.. ubuntu에서 설치하는 방법과 거의 같다고 보면 된다. 아래 URL의 'Install using the repository' 절을 따라하면 된다. https://docs.docker.com/engine/install/ubuntu/#..
raspberry pi 빌드환경을 윈도우에서 제공해주는 WSL로 구성해보자.. 예전에 한번 시도해봤지만, 리눅스 환경까지는 구성이 되었지만, 빌드를 완료 후에 생성된 이미지를 flash memory sd card에 굽는 과정에서 mount, dd등의 명령을 사용 시에 에러가 났었다.. 아마도 파일 접근 권한 때문이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다시 한번 해보자... raspberry pi빌드 환경도 dockerfile를 만들고 빌드해서 image를 실행시켜볼 생각이라.. docker환경 구축도 필요하다. 최근 윈도우 환경의 docker는 약간의 변화가 있었다. (docker desktop이 유료화되었다고 한다..) 그래서 docker desktop 대신에 docker engine과 WSL을 연결해서 환경을 구축..